목록분류 전체보기 (127)
客記
1936년 여름의 조선이랬다. 성기웅이 각색한 체홉의 의 배경 말이다. 그런데 내 눈앞에 펼쳐진 무대에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가 아무렇지 않게 놓여 있다. 명백한 시대착오에 무심하기에 아무렇지 않고, 아무렇게 버려져 있기에 또 그러하다. 사실 이 전자 기계들은 무수한 신문지 더미와 부서진 가구, 주저 앉은 의자, 휠체어 등과 함께 무대에 나뒹굴고 있다. 이게 뭘까. 쓰나미가 지나간 것 같았다. 여기서 첫번째 질문이 생겼다: 후쿠시마 ‘재앙’ 이후 일본 연극은, 아니 타다상 자신은 어떻게 변했는가? 공연을 보면서 다른 질문이 생겼기에 연출과의 대화 시간에 이걸 질문하진 않았다. 작품과 동떨어진 얘기 같았고, 좀더 사적인 자리에서 물어봐야 할 질문 같았기 때문에. 그리고 나 자신이 그런 모임에서 한 번에..
극사발이란 집단이 있다. 풀어보면 꽤 도발적인 이름이다: ‘연극을 통한 사회적 발언’. 이들은 유난히 더웠던 지난 여름 작품 하나를 연습했고, 얼마 전 창단 두 번째 공연을 마쳤다. 그런데 이들이 서울프린지페스티벌에 출품한 이 작품은 비주류 예술을 위한 축제와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다. 연일 신문지상과 트위터를 통해 뜨겁게 다뤄진 핫이슈인 국정원 불법 선거개입 사건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작품 속에서 ‘남조선일보’라는 가상의 유력 일간지 기자가 등장한다 하지만, 연극 잡지보다 먼저 시사주간지에 공연에 대한 기사가 대서특필 되는 것만 보더라도 이 작품이 얼마나 프린지의 축제 정신에서 벗어나 주류 문화를 지향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http://h21.hani.co.kr/arti/society/s..
고통 보(이)기 - 프로메테우스 vs 토마스http://pa-view.blogspot.kr/2013/08/vs.html
http://pa-view.blogspot.kr/2013/07/blog-post.html
"이런 건 정말 처음 봐! I've never seen ever like this!" 어제 공연이 끝나고 나오는 길에 누군가 이렇게 말하는 게 내 귀에 들어왔다. 그말이 재미있었다. 어제 밤 내가 본 것은 한편의 TV 드라마였고, 그건 내게도, 그리고 그 사람에게도 분명 익숙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말은 적절한 반응이기도 했다. 나는 무대 위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한편의 TV 드라마를 보았지만, 동시에 내 눈에는 실시간으로 영상과 음향을 만들어내는 촬영 및 믹싱 현장도 감지되기 때문이다: 검은 옷을 입은 네 사람의 스탭이 4-5대의 HD 캠코더를 부산히 옮겨 다니며 무대 곳곳을 촬영하고, 인물들은 주방 안에서, 그리고 밖에서 지정된 자리에서 무대 구석에 설치된 모니터 화면을 보며 자기..
보기 전.이렇게 흥행이 보장되는 상업 영화가 만들어진다는 건 그만큼 한국 영화가 산업적인 면에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의 합작이란 측면에서도 희망적인 건 틀림없다. 그렇지만 마치 오션스 시리즈를 하나의 장르로 인정하고 있는 것 같은 대범한 모방과 예고편에서 마저도 이미 어디선가 본 듯한 장면이 나타나는 건 상당히 유감스럽다 (http://www.youtube.com/watch?v=SsZ1byE6nXI). '한국형'이란 딱지는 핸드폰에서부터 영화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발견된다. 하지만 그게 성공사례를 베껴놓고 면피하기 위한 게 아니려면 최소한 동시대 한국인들에게 던지는 물음이 있거나, 우리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려)는 노력이라도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 보..
호텔 르완다 (2006)Hotel Rwanda 9.3감독테리 조지출연돈 치들, 호아킨 피닉스, 닉 놀테, 소피 오코네도, 데이비드 오하라정보전쟁, 드라마 | 영국, 이탈리아,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 121 분 | 2006-09-07 테리 조지, 2004 제목만 들어서는 시카고의 "호텔 캘리포니아"라든지 한국 영화 의 사촌뻘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그런데 르완다라.. 아프리카 어디인거 같은데 도대체 어디에 있는 나라인가? 시사에 밝은 사람이라면 르완다 내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겠지만, 주위에서 르완다라는 나라에 관심 가지고 있는 사람을 만나보긴 힘들 것이다. 그러나 불과 몇년만에 총과 칼로 1백만 가까운 사람이 죽임당한 역사에 대해 누구라도 한 번쯤 진지하게 살펴보아야 하는 것 아닐..
* 뒤늦게 드미트리 고트쉐프(1943-2013)의 부고를 접하고 그의 공연이 떠올라 예전에 쓴 글을 우리말로 옮겨 봅니다. 뮐러가 이 극을 쓸 당시 어떤 '기계'를 염두에 두고 있었는지 정확히 알 길은 없지만, 내 생각에 그는 일종의 분쇄기, 그것도 아주 미세하게 가루로 만들어버리는 기계를 구상했던 것 같다. 아주 섬세한 관객들만이 갈리기 전에 무엇이 있었는지를 알아차릴 수 있는데, 나는 불행히도 Die Hamletmaschine에서 Hamlet을 발견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이점은 스토파드의 경우와는 정반대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원본을 생각하지 않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아마도 내가 독일어를 알아듣지 못해서이기도 하겠지만, 막상 말을 알아들었다고 해서 큰 차이가 있었을 것 같지도 않다. (말을 알..
*극단 신작로의 재공연이 결정되었습니다: 2012년 2월 29일부터 3월 18일까지 홍대카톨릭청소년문화회관, 총 17회 공연 는 조지 오웰의 장편 소설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1년 전 영국의 한 중년 보험 영업사원 조지 볼링의 작은 모험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이 모험은 볼링에게 우연찮게 17파운드(현재 원화로 환산하면 17-80만원 정도)라는 적지 않은 공돈이 생기면서 시작된다. 볼링은 이 돈은 아내 몰래 오로지 자기 자신만을 위해 사용하려고 여러가지 궁리를 해보다가 마침내 그동안 잊고 살았던 옛 고향으로 돌아가 보고자 한다. 아내를 속이고 옛 추억을 찾아 고향으로 떠나는 이 이중의 모험이 물론 성공할 리는 만무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자신의 유년시절을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극도의 전쟁 스트레스..
스크린 가득히 클로즈업된 얼굴이 보는 내내 즐거움을 준다는 점만으로도 이 영화의 캐스팅은 성공적이다. 소지섭이나 한효주 모두 자신의 매력을 넘치도록 보여준다. 물론 누가 그 둘을 스크린에 담아냈는가 또한 중요하다. 송일곤이라는 이름이 그들 사이에 없었다면 아마도 내 경우 영화관을 찾아가지는 않았을 것 같다. 지난 봄 가 있었다면 이번 가을에는 이 있다. 그러나 영화가 점점 더 작은, 더 적은 스크린으로 옮겨 가고 있어 아쉽다.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의 슬럼프라는 말도 들린다. 이야기에 특별함이 없어서일까? 그러나 "멜로"라는 장르(통용되는 멜로보다는 로맨스란 말이 좀 더 정확한 것 같다)에 '만남-사랑의 시작-시련-재회' 이외의 특별한 무엇이 필요하지는 않다. 물론 이 네 지점을 연결해주는 고리의 참신함을..